대학원

한국언어문화학과

교육목적

순수학문 영역 확대
타학문과의 통합? 연계성 교육
타학문과의 연계성을 통한 취업률 확대
학문으로서의 한국어 정립
외국인을 위한 전문교육과정 교육
한국어 교수 해외파견
한국어교육 관련 전문교사 및 연구인력 양성
한국어교육학과 및 센터 취업
국내 거주 외국인 및 다문화 가정 한국어 교육
한국어 보급을 위한 교재 개발
한국어 교사 재교육을 통한 전문성 확보
한국어 및 문화의 세계화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
외국(대학)에 한국어 보급 및 학과 신설
한국어 및 문화 홍보를 통한 국제적 위상 고취
국제협력봉사단 활동

발전가능성

  • 충북지역의 유일한 일반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
  • 충북지역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원 진학 기회 제공
  • 충주캠퍼스 재학생들의 한국어 교사에 대한 높은 관심
  • 졸업 후 다양한 취업 기회 마련
  • 지자체와의 협력관계 구축

졸업 후 진로

  • 국내 대학 및 사설교육기관 한국어 교원
  • 국외 대학 및 연구기관 교원 및 연구원
  • 정부관련 한국어 기관 근무
  • 지역 자치단체 한국어교육센터 근무

전공별 교과목(학점) 배정표

교과과정
세부전공 교과목수 학점수 비율(%)
한국어학 6 18 16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5 15 1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12 36 32
한국문화 9 27 24
한국어 교육실습 및 평가 6 18 16
37 114 100%

※ 졸업 시, 한국어교원 2급 자격증 발급 가능

1. 현재 국어원 개설 과목 현황

현재 국어원 개설 과목 현황
한국어학 한국어학개론
한국어 음성학과 음운론
한국어 형태론과 통사론
한국어 의미론과 화용론
한국어 어문규범
일반 언어학 및 응용 언어학 언어학개론
대조 언어학
일반 언어학 및 응용 언어학 한국어교육학개론
한국어 어휘 교육론
한국어 표현 교육론
한국어 이해 교육론
한국어 교재론
한국어 발음 교육론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수법
한국어 평가론
한국 문화 교육론
한국문화 한국고전문학의 이해
한국현대문학의 이해
한국 전통 문화론
한국 현대 문화론
한국어교육실습 한국어 강의참관 및 모의수업
한국어 강의 실습 및 참관
한국어학
♣ 한국어학개론(Introduction to Korean Linguistics)
한국어학의 세부 과정을 공부하기 전에 한국어학 전체를 개괄하여 살펴보는 과목이다. 한국어학에 대한 기초적인 소양을 쌓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학의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이해하고, 한국어학에서 사용하는 기본적인 용어의 개념을 학습한다.
♣ 한국어 음성학과 음운론(Studies on Korean Phonetics and Phonology)
한국어학을 체계적으로 가르치기에 앞서 말소리의 본질과 그 구체적인 모습을 익힐 수 있도록 그 이론적 바탕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음성과 음운의 차이를 학습하고 한국어 음소의 종류와 한국어 음운 체계, 음운의 변동을 이해하고 쉽고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 한국어 형태론과 통사론 (Studies on Korean Morphology and Syntax)
한국어 분석력과 기술력을 기르기 위하여 한국어의 형태소와 품사를 이해하고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고, 한국어 분석력과 기술력을 기르기 위하여 한국어의 문장과 통사구조를 쉽고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 한국어 의미론과 화용론 (Studies on Korean Semantics and pragmatics)
한국어 습득에 있어서의 어휘의 체계적인 확충과 심화 학습을 위하여 어휘의 기본 개념과 체계 및 양상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언어 기호를 이루는 한 축인 ‘의미’를 대상으로 의미의 특성과, 단어의 의미 관계, 문장의 의미와 실제 발화 상황에서 실현되는 발화 의미 및 의미 변화 등을 연구한다.
♣ 한국어 어문규범 (Regulation of Standard Korea)
한국어의 네 가지 어문규범인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의 기본 원리를 이해한다.
일반, 응용언어학
♣ 언어학개론 (Introduction to Linguistics)
언어학에 대한 기초적 소양 교육은 물론 언어학 제 영역에 대한 기초적 개념과 연구 방법론, 연구 대상과 하위 체계, 기타 관련 학문과의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 대조 언어학 (Studies on Contrastive Linguistics)
둘 혹은 그 이상의 언어의 체계를 대조시켜 분석한 결과를 주로 언어교육이나 번역 등 실용적인 목적으로 활용하는 언어학의 한 분야이므로, 대조분석의 결과를 외국어 교육에 이용한다면 교사는 학습자의 모국어가 가지는 모든 특성을 이해한 뒤 학습자에게 외국어를 가르치게 되므로 언어 교수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론
♣ 한국어교육학개론 (Introduction to Korean Education)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전반적인 목표를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의 흐름과 교육방법 등을 이해하여 한국어 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할 수 있다.
♣ 한국어 어휘 교육론 (Teaching Lexicon of korean)
한국어 어휘의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고 어휘 교수 방법의 틀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실질적인 어휘교육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
♣ 한국어 표현 교육론 (Teaching Korean Expressions)
한국어 표현 교육의 전반적인 측면을 파악하고,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및 쓰기 교육의 실제적 방법을 학습하고, 효율적인 교수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 한국어 이해 교육론 (Teaching Korean Comprehension)
한국어 이해 교육의 전반적인 측면을 파악하고, 한국어 읽기 교육 및 듣기 교육의 실제적 방법을 학습하고, 효율적인 교수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 한국어 교재론 (Studies on Materials in Korean)
교재의 올바른 구성과 개발 조건을 학습하고 교재개발의 올바른 방향성을 모색할 수 있다.
♣ 한국어 발음 교육론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한국어의 분절음과 초분절음을 이해하고 인식하여 효율적인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학습하고, 실질적인 발음교육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
♣ 한국어 문법 교육론 (Teaching Korean Grammar)
한국어 문법을 효율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방법론을 학습하고, 문법교육 시의 유의점 등을 숙지할 수 있다.
♣ 한국어 교육 과정 및 교수법 (Curriculums of Korean Education and Theories of Korean Teaching)
여러 유형의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학습자의 동기 및 상황을 고려한 적절한 한국어 교육과정을 모색할 수 있다.
♣ 한국어 평가론 (Testing in Korean)
평가하는 원리와 기준을 학습하고 한국어 평가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다.
♣ 한국 문화 교육론 (Studies on Korean Culture)
한국어와 한국문화 관련 지식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바람직한 문화 교육의 방향을 모색할 수 있다.
한국 문화
♣ 한국고전문학의 이해 (Understand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한국어의 전반적 이해를 위하여 한국 고전문학에 대한 기본적인 교양을 학습하고, 한국 고전 자료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 한국현대문학의 이해 (Understanding Korean Modern Literature)
한국어의 전반적 이해를 위하여 한국 현대문학에 대한 기본적인 교양을 학습하고, 한국 현대문학 자료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 한국 전통 문화론 (Studies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한국사와 한국의 지리적 환경을 바탕으로 한국 전통문화의 형성과 특성을 탐구하고, 한국 전통문화와 전통문화 교육을 검토하여 전통문화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까지 모색할 수 있다.
♣ 한국 현대 문화론 (Studies on Korean Modern Culture)
한국, 한국인, 한국 사회에 대한 이해를 위해 한국인들이 성취한 현대문화를 이해하고, 한국 현대문화와 현대문화 교육을 검토하여 현대문화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까지 모색할 수 있다.
한국어 교육실습
♣ 한국어 강의참관 및 모의수업 (Class Observation and Simulated instruction)
강의 참관을 통해 한국어 교육의 관련 지식들이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참관한 내용을 바탕으로 모의수업을 통해 현장에서 필요한 수행능력을 기를 수 있다.
♣ 한국어 강의실습 및 참관 (Korean Practice and Class Observation)
이론적으로 공부했던 부분을 실제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우고, 실제 수업을 통해 자신의 문제점을 찾고 개선방안을 찾을 수 있다.

2. 필수 이수 학점 및 과목

필수 이수 학점 및 과목
영역 대학 대학원 한국어교원양성과정
전공/복수 전공 부전공
2급 3급 2급 3급
한국어학 6학점 3학점 3~4학점 30시간
일반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6학점 3학점 12시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24학점 9학점 9~10학점 46시간
한국문화 6학점 3학점 2~3학점 12시간
한국어교육실습 3학점 3학점 2~3학점 20시간
합계 45학점 21학점 18학점 120시간

3. 개설 현황

♣ 2011년 2학기 (첫 학기) 개설 과목
1영역 – 한국어학개론 2영역 – 언어학개론 3영역 – 한국어교육학개론
♣ 2012년 1학기 개설 과목
2영역 – 대조 언어학 4영역 – 한국 현대문학의 이해 5영역 – 한국어 강의참관 및 모의수업
♣ 2012년 2학기 개설 과목
3영역 - 한국어 이해 교육론 4영역 - 한국 고전문학의 이해, 한국 현대 문화론

현재

교과과정
1영역 1회
2영역 2회
3영역 2회
4영역 3회
5영역 1회

- 기타문의 : 043-840-3235(대학원 행정실) , 043-840-3327(국어국문학전공)

TOP